화면 전체를 쓰는 태그 inline vs 자기 자신의 크기만큼만 쓰는 태그 block
display property 를 통해 inline - block 설정 변경 가능
박스모델 border 표현해놓고 css 건드리기! 볼 수 있어서 좋음
인라인에서는 width height property 가 무시된다
box-sizing: 은 크기를 예측할 때 그 기준으로 content 를 기준으로 삼을지 border 를 기준으로 삼을지 를 결정할 수 있음
position
기본적으로 position: static
position: relative 가 되어야 offset 적용 가능. offset 이란 left right 등의 property
absolute position 은 부모 태그 중 static이 아닌 position 을 갖고 있는 부모 태그에 대한 relative 라고 이해해도 괜찮을 듯
position 이 absolute일 떄 기본 오프셋은 원래 있어야 할 위치에 있음
absolute postion 하면 부모와의 링크가 끊킴
이 의미는
- 부모의 크기 100% 를 사용하다가 안함 즉, 컨텐트의 크기만큼 width height 가 설정됨
- 부모 엘리먼트의 크기도 자식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지 않음 (자식을 없는 셈 친다)
fixed
고정된. 스크롤에 독립적으로 기능
fixed 와 같이 쓰면 좋은게 body 에 대한 padding
fixed postion 하면 부모와의 링크가 끊킴
이 의미는
- 부모의 크기 100% 를 사용하다가 안함 즉, 컨텐트의 크기만큼 width height 가 설정됨
- 부모 엘리먼트의 크기도 자식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지 않음 (자식을 없는 셈 친다)
Flex 레이아웃 잡을 때 쓰는 기능
부여해야하는 속성 위에 그림 참조
flex 기본 설정 = flex-direction:row
item > flex-basis : 크기
item > flex-grow: 여백을 차지하는 비율 - grow 의 방향
item > flex-shrink: 줄어드는 비율 - flex-basis 로부터 줄어들음
align-items: 기본값은 stretch
holy-grail-layout
traansform
block level element 에만 적용 가능
mdn 싸이트에 document 처럼 css 양식 잘 나오는듯?
transition
🙋♂️ 아마 justify 가 가로정렬 align 이 세로정렬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