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당 포스팅은 컴포넌트에 대한 사전 이해가 필요하다. 컴포넌트에 관련한 내용은 다음 링크 에서 살펴보자

🎯 Component Life Cycle

모든 컴포넌트는 생명주기가 있다. 생명 주기가 있다는 의미는 모든 컴포넌트가 ✔️ 등장 ✔️ 업데이트(재렌더링) ✔️ 퇴장 을 거치며 자기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이다.


다음 코드를 살펴보자.

import React, {useState} from 'react';
import './App.css';

function App() {
  return <Modal></Modal>;
}

function Modal() {
  const [click, setClick] = useState(0);
  return (
    <div>
      <button
        onClick={() => {
          setClick(click + 1);
        }}
      >
        버튼
      </button>
      <div>{click}회 클릭하셨습니다.</div>
    </div>
  );
}

export default App;

해당 코드에서 Modal 컴포넌트는 App 컴포넌트의 return 부분을 통해 등장하며 Click 🖱️ 할 때마다 업데이트 되고 마지막으로 퇴장을 거치며 생명주기를 보낸다.

우리는 이 세 개의 컴포넌트 생명주기(등장-업데이트-퇴장)의 순간들에 대하여 특정 명령을 덧붙일 수 있다.

가령,

등장하고 나서 ~해주세요 / 업데이트 될 때마다 ~해주세요 / 퇴장하기 전에 ~ 해주세요

와 같이 말이다.


예전에, 그니까 클래스로 컴포넌트를 짤 때는, 이를 다음과 같이 사용했다고 한다.

class Modal extends React.Component {
  componentDidMount() {
    // 등장하고 나서 ~해주세요
  }
  componentWillUnmount() {
    // 퇴장하기 전에 ~해주세요
  }
}

지금은 useEffect() 를 주로 사용하지만 말이다.


🎯 Why to use useEffect()

import React, {useState} from 'react';
import './App.css';

function App() {
  return <Modal></Modal>;
}

function Modal() {
  const [click, setClick] = useState(0);
  return (
    <div>
      <button
        onClick={() => {
          setClick(click + 1);
        }}
      >
        버튼
      </button>
      <div>{click}회 클릭하셨습니다.</div>
    </div>
  );
}

export default App;

App 컴포넌트를 거친 후 Modal 컴포넌트가 등장한다. Modal 컴포넌트 안에는 click 이라는 state 가 존재하며 state 값이 변경될 때마다 해당 컴포넌트는 업데이트(재렌더링) 된다.

이 때, 재렌더링 된다 의 의미가 무엇일까?

바로 function Modal() 에 적힌 모든 코드가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실행된다는 의미이다.


여기서부터 useEffect() 를 사용하는 이유가 시작된다. 우리는 이런 질문을 할 수 있다. 정말 모든 코드가 다시 실행되어야 하는 걸까? 이게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?

이에 대한 답변으로 useEffect 가 존재한다. 우리가 useEffect 안에 적는 코드들은 Modal 컴포넌트가 등장, 업데이트, 퇴장 하는 순간순간에서 무조건적으로 다시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조건이 성립할 때만 다시 실행된다.

즉, 아래 그림에서 빨간색으로 칠해진 부분은 Modal() 이 등장할 때, 업데이트 될 때 무조건 실행되지만 파란색으로 칠해진 부분은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만 실행된다.

그 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How to use useEffect() 에서 살펴보자.

🎯 How to use useEffect()

useEffect()useEffect( ( ) => { }, [ ] ) 와 같은 형식을 갖고있다.

Why to use useEffect() 에서 서술했 듯, useEffect() 안에 있는 코드는 특정 조건이 성립할 경우에만 반복적으로 실행된다.

그 경우는 바로 useEffect( ( ) => { }, [ ] ) 에서 두 번째 인자로 사용되는 [ ] 에 의해 결정된다. 이 대괄호 안에는 특정 state 변수 명을 적는다. 그 state 가 변경되었을 때, 리액트는 useEffect() 안에 있는 함수를 실행한다.

그렇기에 [ ] 가 비어있는 경우에는, 해당 컴포넌트가 등장할 경우에만 useEffect 안에 있는 함수가 실행될 뿐, 특정 state 가 업데이트 될 때는 실행되지 않는다.

다음 코드와 결과를 확인하자.

import React, {useState, useEffect} from 'react';
import './App.css';

function App() {
  return <Modal></Modal>;
}

function Modal() {
  const [click, setClick] = useState(0);
  console.log('This is Modal!');

  useEffect(() => {
    console.log('Hello useEffect!');
    console.log(`${click} click detected`);
    return () => {
      console.log('Bye useEffect!');
    };
  }, []);

  return (
    <div>
      <button
        onClick={() => {
          setClick(click + 1);
        }}
      >
        버튼
      </button>
      <div>{click}회 클릭하셨습니다.</div>
    </div>
  );
}

export default App;

Gif1

우선 Modal 이 등장하는 경우 Modal 안에 있는 모든 코드들이 실행된다. useEffect 를 포함한 모든 코드들이 말이다.

때문에 옆에 콘솔 창에서 This is Modal! , Hello useEffect!, 0 clicked detected 등의 출력을 볼 수 있다.

하지만[ ] 와 같이 대괄호 안이 비어있기 때문에, Modal 에 존재하는 click state 가 변경되어도 This is Modal! 만 반복적으로 실행될 뿐, useEffect 안에 존재하는 Hello useEffect!, 0 clicked detected 등은 더이상 반복적으로 출력되지 않는다.


이 때 대괄호 안에 click 을 넣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?

import React, {useState, useEffect} from 'react';
import './App.css';

function App() {
  return <Modal></Modal>;
}

function Modal() {
  const [click, setClick] = useState(0);
  console.log('This is Modal!');

  useEffect(() => {
    console.log('Hello useEffect!');
    console.log(`${click} click detected`);
    return () => {
      console.log('Bye useEffect!');
    };
  }, [click]);

  return (
    <div>
      <button
        onClick={() => {
          setClick(click + 1);
        }}
      >
        버튼
      </button>
      <div>{click}회 클릭하셨습니다.</div>
    </div>
  );
}

export default App;

[ click ] 과 같이 대괄호 안에 특정 state 를 작성하면, 우리가 작성한 click state 가 업데이트 될 때 useEffect 안의 코드를 반복적으로 실행한다.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. 출력 창을 보면 useEffect 안에 작성한 console.log() 들이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
Gif2


한편 useEffect() 안에 존재하는 returncomponentWillUnmount (클래스 방식으로 컴포넌트를 작성하는 경우) 의 역할을 수행한다. 즉, 퇴장하기 전에 ~ 해주세요 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.

뿐만 아니라, 특정 state 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이전 effect 를 청소하는 기능으로도 사용된다.

결론적으로 다음 두 개의 역할을 담당한다.

  1. dependancy (두 번째 인자로 넘기는 배열) 가 바뀌어서 effect가 달라져야할 때 이전 effect 를 청소하는 용도
  2. component가 unmount 되기 직전 (퇴장 직전)

때문에 위 GIF를 살펴보면 click state 가 변경되고 Modal 컴포넌트가 다시 실행될 때 Modalreturn 에 적은 출력이 실행되어, 콘솔 창에 Bye useEffect! 가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
Leave a comment